본문 바로가기

잉크젯마킹기

마킹기의 종류와 사용하기 좋은현장에 대한 안내



마킹기는 제조공정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비입니다.
특히 식품, 의약품, 제약, 화장품, 전선 등 유통기한이나 

제품 사양이 필수로 표기되어 있어야하는
산업군은 더욱 중요합니다.

세상에는 너무나 많은 종류의 마킹기가 있고
사용자가 알아보기에는 낯선 단어도 많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존재합니다.

마킹기의 종류와 장점과 단점을 설명드리고 

어떤환경에서 사용하면 좋은지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한눈에 보시기 쉽게


가격 - 고가★~저가★★★★★
유지비용 - 고가★~저가★★★★★
마킹기와 제품간의 거리 - 가까워야 함★~멀어도 됨★★★★★
마킹의 강도 - 낮음★~강함★★★★★
사용난이도 - 어려움★~쉬움★★★★★

카트리지타입 마킹기, 연속순환식마킹기, 레이저마킹기, 열전사마킹기
이 네가지 항목을 별 5개 만점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카트리지타입 마킹기 설치사진


1. 카트리지마킹기
※제품이 움직이는동안 마킹이 가능

가격 - ★★★★★(저가)
유지비용 - ★★★★★(저가)
마킹기와 제품간의 거리 - ★(가까워야함)
마킹의 강도 - ★★~★★★(보통)
사용,유지보수 난이도 - ★★★★★(쉬움)

장점

카트리지마킹기는 저렴한 기계가격과 유지비용, 쉬운 사용법으로
요즘 선호하는  잉크젯마킹기 입니다.
앞으로 설명드릴 다른 타입의 마킹기 중 가장 저렴한 가격입니다.
사용하면서 주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하는 부품이 없어
유지비용이 없습니다.
소모품인 잉크카트리지만 교체해 주면 됩니다.

단점


다른 종류의 잉크젯처럼 펌프같은 잉크를 쏴주는
부품이 없기때문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는 거리가 짧습니다.
따라서 마킹면이 잉크를 분사하는 곳과 거리가 멀다면(5mm이상)
카트리지타입의 마킹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ex.캔 바닥에 오목하게 들어간부분)

필요한 유지보수 활동

마킹기를 사용하면서 은근히 귀찮은게
유지보수활동 입니다.
카트리지마킹기를 사용하면서 가장 중요한 활동은 사용하지 않을때는
기계에서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캡을 닫고 보관해주어야 합니다.
유성매직을 뚜껑 열어놓고 사용하는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카트리지타입은 잉크젯마킹기에서 가장 중요한 노즐(잉크가 나오는 구멍)이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어 카트리지를 다 사용하고 교체하면
새로운 노즐이 되어 잔고장이 없다시피 합니다.
노즐을 세척하는 방법도 마른 천이나 휴지로 노즐부분을 한번 닦아주면 끝입니다.


적합한 환경

1. 하루 생산량이 많지 않은 곳(1만개 미만)
2. 하루 생산량은 많으나 마킹기 사용에 간격이 있는 곳

카트리지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플라스틱
카트리지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플라스틱 병
카트리지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무지 박스
카트리지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코팅된 종이



2. 연속순환식잉크젯마킹기
※제품이 움직이는동안 마킹이 가능

가격 - ★★(고가)
유지비용 - ★★★★★(고가)
마킹기와 제품간의 거리 - ★★★★(멀어도 가능)
마킹의 강도 - ★★★~★★★★(강한편)
사용,유지보수 난이도 - ★★(어려움)

특징


잉크젯마킹기의 최초 구동방식으로
잉크시스템과 컨트롤부분과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부분이
케이블로 연결되어 동떨어져있고
글자가 점으로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장점


가장 큰 장점은 잉크를 멀리 분사할 수 있어
움푹 들어간 곳에도 마킹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루 생산량이 아주 많은 곳이라면(1만개 이상)
소모품 비용이 카트리지타입보다는 저렴합니다.


단점


가동중에 잉크가 계속 순환하는 형식이기때문에
주기적으로 필터or모듈 을 교체해 줘야 합니다.
교체비용이 비싼편이라 부담이 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잉크순환계통을 구성하는 부품의 종류만 해도 13가지이상이며
전자쪽을 구성하는 부품도 8개이상입니다.
많은 부품에서 오는 잔고장이 있는편이며
유지보수활동을 잘 해주어야 합니다.

유지보수활동


기계가 종료될때 자동으로 잉크가 지나가는 관로를 희석제로 청소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과정중에 헤드부분 커버를 열어서 잉크가 회수되는 쪽(거터라고 합니다)에
희석제를 두방울정도 뿌려 줍니다.
(너무 많이 뿌리면 잉크의 점도가 틀어져 잉크를 교체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이 과정이 끝나고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을 청소해 줘야 하는데
브랜드마다 명칭은 다르나 노즐에서 잉크를 역으로 빨아들이게하는 시퀀스를 실행하고
노즐부분에 희석제를 한방울씩 두세번 뿌려주면 노즐막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과정들이 끝나고 나면 헤드부분에 전체적으로 희석제를 뿌려
헤드에 묻어있는 잉크 잔여물들을 깨끗하게 해주면
잔고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적합한 환경

1. 하루생산량이 1만개 이상인 곳
2. 마킹기를 매일 최소 5시간이상 사용하는 곳
3. 마킹면이 움푹 들어가있는곳

연속순환식마킹기와 레이저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플라스틱
연속순환식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종이
연속순환식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플라스틱
연속순환식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알루미늄 캔


3.열전사마킹기
※제품이 멈춰있을때 움직일때 둘다 가능하나 움직일때 하는 마킹은 제한이 많음

가격 - ★★★★(저가)
유지비용 - ★★★(보통)
마킹기와 제품간의 거리 - ★(가까워야 가능)
마킹의 강도 - ★★★(보통)
사용,유지보수 난이도 - ★★★(보통)

장점


높은해상도의 마킹으로 바코드 인식율이 좋습니다.
또한 비닐과 라벨에 있어서는 강한 마킹강도를 보여줍니다.


단점

표면이 단단한 재질에 사용하면 
리본을 눌러주는 장치인 헤드가 잘 고장나
비닐이나 라벨지 같은 재질에만 마킹이가능합니다.
또한 기계가 큰편이라 설치할때 어느정도 공간이 필요합니다.

적합한 환경


1. 비닐이나 라벨지에 고해상도로 잘 지워지지 않는 마킹을 해야하는 환경

열전사 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비닐
열전사 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비닐



4.레이저마킹기
※제품이 멈춰있을때 움직일때 둘다 가능하나 움직일때 하는 마킹은 제한이 많음

가격 - ★(고가)
유지비용 - ★(저가)
마킹기와 제품간의 거리 - ★★★★(멀어도 가능)
마킹의 강도 - ★★★★★(강함)
사용,유지보수 난이도 - ★★★★★(쉬움)

장점

레이저는 빛으로 표면을 깎아 글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면을 아예 날리지 않는 이상 마킹이 지워질 수가 없습니다.
또한 잉크나 리본(뒤에 안내드릴 열전사방식의 소모품)같이
마킹하는데 전기만 사용하기 때문에 소모품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점

초기 도입하는 비용이 비쌉니다.
요즘에는 저렴한 모델들이 나오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가격이 좀 있는편입니다.
또한 표면을 빛으로 태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흄(FUME)이 발생합니다.
이 흄을 빨아들일 수 있는 집진기나 집진설비가 필요합니다.
집진기를 사용하신다면 집진기 필터를 교체해 주셔야 합니다.

적합한 환경


1. 마킹이 절대 지워지면 안되는 곳

레이저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플라스틱
레이저 마킹기로 마킹한 사례 - 고무



이상으로 흔히 사용하는 마킹기 4가지의 장단점을 간략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어떤마킹기도 모든 현장에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사용하시는 환경에 적합한 마킹기를 선택하셔서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