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잉크젯마킹기

산업용 잉크젯 마킹기 마킹 안될 때 A/S요청 전에 셀프 조치 방법

안녕하세요

산업용 잉크젯 마킹기 전문업체 표준마킹 입니다

 

잉크젯마킹기를 사용하시다 보면

마킹(인쇄)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생산은 급한데 마킹기가 안되면 답답하실텐데

그럴때 빠르게 셀프로 조치 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이 방법은 꼭 저희 표준마킹의 마킹기가 아니더라도

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마킹기라면 적용할 수 있는

공통된 사항이니

타 브랜드를 이용하시더라도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수리를 요청하기전에 먼저 해보시고

해결 할 수 있다면

시간과 비용을 아끼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_htAKb8iVSg?si=MFtfx0Dm6dHLg9LR

 

1. 센서 확인

https://youtube.com/shorts/63NShicA_uQ?si=nm2_H2Ru4jLYyacS

 

마킹기는 95%가 광전센서로 제품을 감지합니다

광전센서는 빛을 쏴서 물체에 맞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을 감지하여

제품의 유무를 판단하는데

잉크젯마킹기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센서는

빛을 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쉬운 이해를 위해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제품이 아닌 이송장치의 바닥이나(상면마킹시)

건너편의 벽이나 물체를 감지하고 있는 경우(측면마킹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센서입장에서는 계속 제품이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니

그 사이에 제품이 지나가도 인식을 못하여

마킹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 입니다

이런 경우 센서에 있는 조절홈을 이용하여

감지거리를 조절해야 합니다

보통 센서 몸통(앰프)에 십자(+)홈이 나있는데

이 홈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감지거리가 줄어들고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감지거리가 늘어납니다

보통 감지거리가 길어서 발생하는 문제이니

감지거리를 줄여서 제품이 없을때는

'OUT'이란 부분에 불이 꺼져 있어야 하고

제품이 있을 때만 'OUT'부분에 불이 들어와야

정상적인 상태입니다

이 상태로 만들어주고 마킹을 해봅니다

마킹이 잘 된다면 축하드리며

만약 마킹이 안되더라도 실망하지 마시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2. 노즐 막힘 확인(잉크분사 확인)

https://youtube.com/shorts/k-_oQF4Ua00?si=kYFwhtS9PyWB12Tv

 

노즐은 잉크를 분사하는 곳을 말합니다

노즐막힘은 산업용 잉크젯 마킹기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증상이며

당연한 증상입니다

그만큼 해결 방법도 간단한데바로 청소를 해주는 것 입니다청소하는 방법은 각 브랜드마다 권장하는 방법이 다르니사용하고 계신 마킹기의 공급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으로청소를 해주시면 됩니다저희 표준마킹의 마킹기를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면마른 천이나 휴지로 노즐을 가볍게 닦아주시면 됩니다이렇게 청소를 하고 다시 마킹할 준비를 하시고흰색 종이나 휴지같은사용하고 계신 잉크의 색과 반대되는 색(투명한 것도 괜찮습니다)의물건을 준비한다음잉크가 나오는 부분에 그냥 가져다 대봅니다잉크가 묻어나오지 않는다면노즐이 굳었거나 기계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공급사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잉크가 묻어나온다면 제품에 마킹을 해보시고제품에 정상적으로 마킹이 된다면 축하드리며또 마킹이 안되더라도 인내심을 가지시고다음 단계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3. 카운터 & 인쇄지연 확인

https://youtube.com/shorts/0CPEDwSPyP8?si=k0s1Sz5Vd8zgjVbQ

https://youtube.com/shorts/UVGVdzuRPsE?si=0X0wG5VFNTc2gCdJ

 

 

모든 마킹기에는 '카운터' 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잉크를 분사한 횟수 만큼 숫자가 올라가는 기능인데요

이 기능을 활용하여 다시한번 체크를 합니다

현재의 카운터 값을 기억하시고

2번에서 사용했던 종이같은 것을

한번 더 잉크분사하는 곳에 가져다 대봅니다

이때 카운터가 '1'올라가면 정상입니다

그렇지만 제품에는 마킹이 안된다면

제품이 아닌 다른 곳에 잉크를 분사하고 있을 확율이 높습니다

이럴때는 인쇄지연(Delay)값을 조정해 줘야 합니다

인쇄지연값이란 센서가 제품을 감지하고

어느정도 있다가 잉크를 쏘기 시작할 것이냐는 값인데

업체마다 이송장치의 속도가 다르고

마킹의 위치도 다르고 글자의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기준값'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인쇄지연값의 적정값을 모르시겠다면

인쇄지연을 '0'으로 하고 마킹한번

'50'으로하고 마킹한번

'100'으로하고 마킹한번

이런식으로 인쇄지연값을 늘려서 마킹을 해보시다가

제품에 마킹이 되는 순간이 나오면

그때부터는 미세조정으로 원하는 위치에 마킹이 되도록

값을 조절해 주시면 됩니다

(통상적으로 50단위로 했지만

제품이 아주 작거나 이송라인의 속도가 빠르다면

5나 10단위로 늘려가면서

해보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qQJPGtRGWzQ?si=5VvgIP5ij9yGXtrI

 

여기까지 하셔서 해결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만

그래도 해결이 안됐다면 사용자입장에서는 할만큼 하셨으니

A/S를 요청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지금까지 표준마킹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